Transmission(토렌트)등을 추가한 BigEasy99 펌웨어
★ BigEasy99/ Firmware Version V3.3 Release
https://mega.nz/#!UbJkXKhI!z5bGY9am4Se1rbdT5lOmSFYfBES-asbbV2qQhFQokZ8
★ BigEasy99/ Firmware Version V4.0 Release
■ BigEasy99_v4.0
Add SDCard/Sata Control
Software Update.
Kernel issue Fixed
etc...
■ 주의사항
1. NTFS 파티션도 가능합니다.
2. usb장치 상단에 transmission 이라는 폴더를 직접 만들어야 transmission 사용이 가능 합니다.
■ Padavna펌웨어 IPKG 사용하는법 (김민기님)
1. USB저장장치(WT3020에 연결된 usb장치나 외장하드) 상단에 opt라는 폴더 생성.
2. Padavan펌웨어설정 - Advanced Settings - USB Application - Allow Run Optware 항목을 No에서 Optware(legacy)로 바꿔준다.
3. 재부팅
4. 처음 optware 설정후에는 재부팅후 4~5분간의 기다림이 필요. 디바이스가 작동해도 기다려야합니다.
5. SSH로 접속하면 ROOT폴더가 /opt/home/admin 으로 바뀌어있어야 합니다. 만약 바뀌어있지않다면 ssh 재접속을 하거나 재부팅필요.
6. ipkg install <package> 를 통해 패키지 설치가능. ipkg update는 처음에 필수.
주의
USB상단의 opt를 지우시면 안됩니다.
감사합니다.
펌웨어 교체전엔 반드시 기본 펌웨어 백업해두세요(U-BOOT).
펌웨어는 김민기님의 BigEasy99 펌웨어를 사용해 보시길 권합니다.
기본펌웨어 상태에서 백업(?)방법 간단하게 적습니다.
http://mysku.ru/blog/aliexpress/29103.html 이곳의 내용을 수정인용했습니다.
자세한건 위 링크를 참조하세요.
1. USB장치에 u-boot-nexx-3020-7620.bin를 넣는다
2. WT3020에 usb를 끼운다
3. 텔넷으로 WT3020에 접속한다 (192.168.8.1)
#id : nexxadmin
#pw : y1n2inc.com0755
4. 입력
# Cd /media/sda/sda1
5. 백업
# For i in 0 1 2 3; do cat /dev/mtdblock$i > mtdblock$i.bin; done
6.
# Mtd_write -r -e mtd0 write u-boot-nexx-3020-7620.bin mtd0
성공하시면 자동 재부팅됩니다.
이후에 전원을 빼고 리셋버튼 누른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하고 3초후 리셋버튼을 떼면 U-boot으로 부팅됩니다
브라우저에서 192.168.1.1로 접속하시면 U-BOOT으로 접속됩니다.
(리셋버튼을 3초 눌러서 재부팅했을 때에만 U-BOOT으로 부팅됩니다)
OpenWRT
■ 기본적인 휴대용 무선 공유기로서 사용이 주목적인 분들은 기본펌웨어로 사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. 기본상태에서도 휴대용 공유기로서 필요한 기능은 모두 다 가능하며 충분히 값어치 이상 합니다. OpenWRT를 올려서 기능을 늘리면 늘릴수록 오히려 그 기능에 묶여서 필요할때 쉽게 분리해 휴대하기가 어려워 질 수도 있습니다. 가성비가 워낙 좋아서 저는 두개 구입해서 하나는 그대로 쓰고 나머지 하나는 OpenWRT를 올려 사용하고있습니다.
사용할 환경 : 인터넷-> [아이피타임] -유선-> [WT3020] -> 무선
--> 주 공유기는 아이피타임이고 WT3020은 보조로 연결한 상태로 사용 할 예정
--> OpenWRT펌웨어 올리고 토렌트와 FTP서버로 활용하는 과정 (전체적인 참고 : http://wiki.openwrt.org/toh/nexx/wt3020)
--> 소요시간 : 막히지 않고 쭉 진행할경우 20분 이내
■USB메모리는 EXT3로 미리 포맷하였다. (exFAT인식하는 패키지가 있는지 모르겠음. FAT3 는 4GB이상 파일 사용불가, NTFS는 읽기만 가능)
※USB OUTPUT 전류량이 컴퓨터USB2.0보다 많아서 외장하드도 보조전원없이 사용가능
■방열판 장착
뚜껑 열기가 힘든 편. 드라이버 등으로 아래쪽으로 밀어 넣다가 내부가 망가질 수 있기때문에 가능한 '위쪽'으로 들어 올려야 된다
1.
■OpenWRT 설치 (참고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9WNipVOTnE)
OpenWRT펌웨어 다운 :
(펌웨어 링크는 항상 최신버전으로 연결됩니다)
컴퓨터와 WT3020의 랜포트와 연결
인터넷 주소에 192.168.8.1를 입력하여 WT3020(기본펌웨어상태)에 접속
로그인 (admin,admin)
펌웨어 업그레이드
다운받은 openwrt-ramips-mt7620-wt3020-8M-squashfs-factory.bin 선택 후 펌웨어 업그레이드
업데이트 완료 후 자동 재부팅
-----주의---- 기본펌웨어에서가 아닌, OpenWRT펌웨어에서 OpenWRT펌웨어로 재설치 혹은 업그레이드 할때의 펌웨어 : https://downloads.openwrt.org/snapshots/trunk/ramips/mt7620/openwrt-ramips-mt7620-wt3020-8M-squashfs-sysupgrade.bin
2.
■OpenWRT 초기 접속 암호 설정
(Telnet 켜기)
제어판 - 프로그램 - Windows 기능 켜기/끄기 에서 '텔넷 클라이언트' 옆에 체크하고 확인을 눌러 Telnet기능을 켠다.
시작버튼 - 실행 - cmd
telnet 192.168.1.1 입력 후 엔터
passwd 입력 후 엔터
비번설정
3. ssh로 wt3020에 접속하는과정
■Putty 다운로드
http://www.chiark.greenend.org.uk/~sgtatham/putty/download.html
putty 실행
호스트네임 [root@192.168.1.1] 포트[22]
Open을 눌러 접속
2 번과정에서 설정한 비번입력후 엔터
■이쯤에서 WT3020에 USB메모리 연결
■와이파이열기
vi /etc/config/wireless [엔터]
(수정방법 : [i]수정모드 / [esc]수정모드나가기 / dd행삭제 / :q종료 / :wq 저장하고 종료/ 뭔가 망쳤다싶을때 저장안하고 나가기 ctrl+z )
disabled 에서 1을 0으로 수정
htmode 40- 로 변경
저장하고 종료(:wq)
reboot [엔터] (WT3020재부팅)
공유기 재부팅후 ->와이파이가 가능해져서 와이파이 검색됨(openwrt)
4.
■WT3020의 Wan포트를 아이피타임공유기의 랜포트와 연결해서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한다. (WT3020에 인터넷이 들어와야 외부에서 패키지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게 가능)
5.
■만약 4번과정에서 컴퓨터와 WT3020을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컴퓨터를 WT3020이 쏴주는 와이파이로(OpenWRT)에 연결해서 진행한다.
■putty 실행
호스트네임 [root@192.168.1.1] 포트[22]
Open
비번입력하고 로그인
5-1.
■패키지 업데이트
opkg update 엔터 (패키지를 설치하려면 그 전에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해서 불러와야 한다)
5-2.
■Rom 용량이 8MB로 패키지를 설치하기에 용량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(Luci, USB Storage, FTP, 토렌트깔면 1MB정도 남음) root파일 시스템을 USB저장장치로 옮겨버려서 USB용량만큼을 패키지설치가 가능한 시스템공간으로 확보하는 과정 ->USB를 통해 부팅됨
(참고 http://wiki.openwrt.org/doc/howto/extroot)
■ 주의 : 이 설정을 할경우 OpenWRT의 시스템파일과 설정들이 USB로 옮겨지며 WT3020엔 초기 설정파일만 남습니다. 따라서 USB를 분리하면 OpenWRT는 초기상태가 됩니다. 휴대용으로 자주 사용하실 분은 이 설정(5-2)을 건너뛰고 8MB용량 내로 꼭 필요한 패키지만 설치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. (Luci, FTP, 토렌트까지는 8MB용량 안에서 설치 가능합니다.)
이 설정을 하실분은 WT3020과 USB를 함께 휴대해서 다니시거나 WT3020만 휴대하여 초기설정으로 사용하시고 나중에 다시 USB를 꼽고 Luci(웹UI)에서 USB마운트를 Root파일시스템으로 설정해주시면 다시 FTP와 토렌트등을 원래대로 사용가능합니다.
■USB저장장치 인식을 위한 패키지 설치하기 (참고 : http://blog.shar.kr/1024 )
opkg install kmod-usb-storage [엔터]
opkg install kmod-usb-storage-extra [엔터]
opkg install kmod-fs-ext4 [엔터]
opkg install block-mount [엔터]
opkg install kmod-fs-vfat [엔터]
■USB를 마운트하고 패키지와 설정파일과 시스템파일을 USB로 옮기기
mount /dev/sda1 /mnt/sda1 [엔터] ( usb를 연결 후 마운트 )
tar -C /overlay -cvf - . | tar -C /mnt/sda1 -xf - [엔터] (패키지와 설정파일 옮기는 과정)
mkdir -p /tmp/cproot [엔터]
mount --bind / /tmp/cproot [엔터]
tar -C /tmp/cproot -cvf - . | tar -C /mnt/sda1 -x [엔터] (시스템 옮기는 과정)
umount /tmp/cproot [엔터]
vi /etc/config/fstab [엔터] (아래와같이 '값'을 수정)
config mount
option target /overlay
option device /dev/sda1
option fstype ext3
option enabled 1
수정 후 저장 후 빠져나감
reboot [엔터]
■ swap메모리 설정하기
http://takuma99.tistory.com/187
6.
Putty 로 공유기 접속 후
opkg update
■웹인터페이스(Luci) 패키지설치
opkg install luci
->이제 192.168.1.1를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해서 웹으로 WT3020에 접속 가능해짐
6-1.( 5-2를 생략한경우 6-1번도 생략하고 6-2번으로...)
■인터넷 주소창에 192.168.1.1 입력하고 웹으로 로그인
System - Mount Points 에서 Edit -> Use as root filesystem 옆에 체크하고 Save&Apply
재부팅
6-2.
다시 192.168.1.1 웹으로 로그인
System-Software에서 아래패키지 이름 검색후 install
(USB인식패키지. 이 패키지는 5-2과정에서 이미 설치했으므로 5-2설정을 했으면 건너뜀)
kmod-usb-storage
kmod-usb-storage-extras
kmod-fs-ext4
block-mount
kmod-fs-vfat
(FTP서버)
vsftpd
(토렌트)
transmission-daemon
transmission-web
transmission-cli
(DLNA 사용할경우 설치)
luci-app-minidlna
(5-2과정을 생략한경우)
새로고침
system - mount point 로 가면
mount points에 자동으로 USB가 인식되어 있다 edit을 눌러서 enable에 체크를 하고,
device는 /dev/sda1 선택
Mount point는 /mnt/sda1 (/mnt 경로에 sda1이라는 폴더를 usb드라이브로 하겠다는 의미)
7.
■와이파이세팅
Network - WIFI에서
Width
으로 변경
Edit - ESSID를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
Wireless Security탭에서 비밀번호 설정
Encryption = WPA-PSK/WPA2-PSK Mixed mode
Cipher = Force CCMP (AES)
Key = 원하는 비밀번호
Save & Apply
8.
■원격포트열기
Network -Firewall에서
모든 reject를 accept로 변경
Save & Apply
Traffic Rules탭 클릭
Open ports on router에서
Name= 'DDNS'또는 아무 이름이나 씀 /External Port = 80 이렇게 설정하고
add누르고 Save & Apply
■ssh포트 열기
System - Administration에서
Gateway ports 옆에 체크
Save & Apply
9.
■만약 아이피타임을 거치지 않고 WT3020을 바로 사용할 경우에는 9번과정 대신 WT3020에 DDNS를 설정 해 주어야한다.
(무료 DDNS서비스 http://www.duckdns.org ) (쉬운방법찾는중...)
■DDNS및 포트포워딩 (아이피타임) (아이피타임이 아닌 다른 공유기도 해당 기능을 같은 방법으로 설정 해 주면 됩니다.)
아이피타임에 접속 192.168.0.1
관리도구 - [공유기 접속 관리] 클릭
원격관리포트 사용 체크 /포트는 8888,8080,80을 제외한(바이러스침투가능) 원하는숫자로 정하고 적용
9-1.
■DDNS설정 (아이피타임)
고급설정 -특수기능 -DDNS설정
호스트이름 [원하는이름.iptime.org]
사용자계정 [이메일주소]
사용자암호 [암호]
추가
9-2.
■포트포워딩 (아이피타임)
고급설정-네트워크관리-내부네트워크정보 에서 wt3020의 내부아이피 주소 확인
고급설정-네트워크관리-내부네트워크설정 에서 검색된 IP/MAC 주소 아래에 위에서 확인 한 WT3020의 주소에 체크 후 추가
NAT/라우터관리-포트포워드설정 에서
내부아이피주소 = WT3020의 내부 아이피주소
외부포트 = 8080 내부포트 = 80 규칙이름 = DDNS
추가
내부아이피주소 = WT3020의 내부 아이피주소
외부포트 = 2222 내부포트 = 22 규칙이름 = SSH
추가
내부아이피주소 = WT3020의 내부 아이피주소
외부포트 = 2121 내부포트 = 21 규칙이름 = FTP
추가
내부아이피주소 = WT3020의 내부 아이피주소
외부포트 = 9090 내부포트 = 9091 규칙이름 = Transmission
추가
--------> 9-1 에서 지정한 DDNS주소+외부포트(원하는이름.iptime.org:외부포트)를 입력하면 외부에서 원하는 서비스에 접속 가능.
10.
■putty에서 transmission(토렌트) 설정
vi /etc/config/transmission 입력 후 엔터. 아래 내용으로 수정.
enabled 1
config_dir '/etc/transmission'
download_dir '다운받을 경로'
(5-2과정을생략한경우 /mnt/sda1 ,5-2과정을 거친경우 /overlay 경로로 해준다.)
option rpc_whitelist_enabled false
watch enable true
watch dir '경로 설정' ( -->여기서 지정한 경로에 토렌트 파일을 넣으면 자동으로 다운로드한다 )
저장후 종료
재부팅
토렌트 접속 (포트9091 , ddns로 접속하려면 포트9090 // 예 : 192.168.1.1:9091 또는 DDNS도메인.iptime.org:9090)
아래 스페너모양 버튼으로 토렌트 설정(공유기 재부팅 후 적용됨)
(참고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BvCMVygGNQ ,
http://blog.naver.com/nekojp/150173305855)
■Ram 공간확보
(참고: http://blog.naver.com/mrshin2000/130179799763)
192.168.1.1웹으로 접속 - System - Scheduled Tasks에 아래 한줄을 텍스트박스에 추가 후 저장 (1시간마다 자동으로 램 공간 확보)
0 */1 * * * 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
수동으로 확보하려면 Putty로 접속해서 아래 명령어
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
alias로 짧은 명령어로 줄여 활용
vi /etc/profile
맨 아래에 아래한줄 추가 후 저장 (fm대신 원하는걸로 해도된다)
alias fm='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'
->이 설정을 하면 putty에서 fm명령만으로 램 공간확보가 된다.
■ Idle시에 하드디스크 속도 줄이기 (외장하드 사용할경우) (호환이 안되는 외장하드가있다. 설치후 초기화될경우 이게 원인일 수 있다.)
luci-app-hd-idle 패키지 설치
luci에서 service메뉴에 hd-idle에서 설정
/dev/sda 로 수정후 저장
■OpenWRT에서 리피터로 활용방법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3rbsh2zxPnk
■프린터 서버와 스캐너 서버 (아직 안해봄)
http://wiki.openwrt.org/doc/howto/p910nd.server#usb_port
http://sokrates.mimuw.edu.pl/~sebek/openwrt/